본문 바로가기
건축노트/기타

건축 / CM 실무 용어 및 영문 약어 모음 정리

by 고사리 노트 2025. 4. 29.
반응형

 

 

 

설 / 건축 업계에서는 수많은 전문 용어와 영문 약어가 일상처럼 사용됩니다. 어떤 분야에서는 영어 약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회의나 문서를 따라가기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저 역시 처음 실무에 투입되었을 때,
“이게 무슨 뜻이지?” 하며 하나하나 찾아봤던 기억이 있는데요.
그때 궁금했던 용어들과, 실무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약어들을 정리해서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 업무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실무 중심 용어들만 엄선했으니,
신입 사원부터 경력자까지 모두에게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호텔>

OS&E (Operating Supplies & Equipment)

객실 어메니티, 식음업장 기물, 린넨, 유니폼, 청소 용품 및 시설 자재 등 소모품

FF&E (Furniture Fixtures & Equipment)

호텔 건물에 부속되지 않는 (분리되어 이동이 용이한) 커튼, 카펫, 테이블, 의자 및 아트워크 등 고정자산

 

BOH (Back of house)

직원 전용 구역 (주방, 세탁실, 사무실 등 고객에게 보이지 않는 공간)

 

FOH (Front of house)

고객이 이용하는 구역 (로비, 레스토랑, 프론트 데스크 등)

 

HMA (Hotel Management Agreement)

호텔 위탁운영계약
호텔 소유주(Owner)가 호텔 브랜드(Operator, Management Company)에 위탁하여 운영을 맡기는 계약
운영사(예: Marriott, Hilton 등)는 호텔 운영을 총괄하고, 소유주는 수익 일부(운영 수수료)를 지급함. 보통 15~20년 이상의 장기계약

 

HMA 체결 전 단계별 문서 (절차)

  1. EOI (Expression of Interest)
    : 의향서
    호텔 브랜드 또는 소유주가 해당 프로젝트 또는 운영 제안에 관심이 있음을 표현하는 문서. 구속력은 없음
  2. LOI (Letter of Intent)
    : 양해각서 또는 의향서
    호텔 운영 계약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들(운영방식, 수수료, 계약기간 등)에 대한 합의 의사 표시. 일부 조항은 법적 구속력이 있을 수 있음
  3. 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
    : 합의각서
    운영사와 소유주 간에 기본적인 계약 조건에 대해 상호 이해 및 협의가 이루어졌음을 기록한 문서. 법적 구속력은 없거나 제한적
  4. TSA (Technical Services Agreement)
    : 호텔 기술(설계/건축) 지원 계약서
    호텔 브랜드(Operator)가 개발 초기 단계에서 소유주(Owner)에게 설계, 건축, 기술적인 가이드라인 및 검토를 제공하기 위해 체결하는 계약
  5. HMA (Hotel Management Agreement)
    : 최종 계약서
    모든 조건이 확정되어 법적 효력을 가지는 호텔 위탁운영 계약서. 세부 운영 기준, 역할, 수익분배, 계약 종료 조건 등 명시

절차

[EOI 의향서] → [LOI 의향표시서] → [MOU 합의각서] → [TSA 기술지원계약] → [HMA 호텔운영계약]

(관심표명) → (조건의향) → (합의확인) → (기술계약) → (최종계약)

 


<설계>

SD-DD-CD-CA

SD (Schematic Design) : 개략 설계 (컨셉 스케치 단계)

DD (Design Development) : 기본 설계 (SD를 발전시켜 구체화)

CD (Construction Documents) : 실시 설계 (공사에 필요한 세부도면 완성)

CA (Construction Administration) : 공사 관리 (시공 중 설계 검토 및 질의응답 대응)

 

DR (Design Review)

설계 검토

 


<CM>

CM (Construction Management) 

건설사업관리

 

CS (Construction Supervisor) 

감리(공사 현장에서 품질, 안전, 공정관리 감독)

 

QS (Quantity Surveyor) 

원가관리 전문가

 

IE (Indenpendent Enginnering Service)

독립기술 자문, 비상주 감리, 책임이 없는 감리를 말함

 

CSI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information)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 정보망, 착공시 등록

 

DD (Due Diligence)

물리실사, 현장 실사 (자산 가치 및 리스크 검토)

기업 M&A (흡수합병)이나 큰 자산 구매 (예, 해외호텔 인수, 건물 인수, 시공사가 공사중인 건물 인수 등)를 할때, 책상에 앉아서 장부만 검토하는 것이 아닌,  그 장부의 내용이 현장의 상황과 일치하는지 실제 임장하여 실사하는 것이다. 장부가액이 맞는지, 건축 기술자 입장에서는 건축물의 기능이 정상작동하는지(엘리베이터, 배관, 설비, 균열 등등)를 보는 것

 

CAPEX (Capital expenditures)

미래 이윤 창출을 위해 투자하는 자본 지출

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한다. 이는 기업이 비유동자산을 구매하거나, 유효수명이 당회계년도를 초과하는 기존의 비유동자산에 대한 투자에 돈을 사용할 때 발생한다. CAPEX는 회사가 장비, 토지, 건물 등의 물질자산을 획득하거나 이를 개량할 때 사용한다. 회계에서 Capex는 자산계정에 추가하므로 (자본화), 자산내용(세금부과에 적용되는 자산가치)의 증가를 가져온다. CAPEX는 일반적으로 현금흐름표에서 장비와 토지자산에 대한 투자 등에서 볼 수 있다.

 

OPEX (Operating Expenditure)

일상적인 사업 운영을 위한 경비

OPEX는 '업무지출' 또는 '운영비용'이라고도 하며 갖춰진 설비를 운영하는데 드는 제반 비용을 말한다.  OPEX는 인건비, 재료비, 수선유지비와 같은 직접 비용과 제세공과금 등의 간접 비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 CAPEX와 함께 대조적으로 많이 쓰이는 용어다. OPEX가 높다는 것은 기존의 생산설비등이 노후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MEP (mechanical electrical and plumbing)

기계, 전기, 배관 설비

 


<환경>

ESA

환경실사보고서

토질, 부지주변 환경 등 상태 검토 보고서 ( ASTM기준으로 작성)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ence)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사결정)를 뜻하는 말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머리글자를 딴 단어로 기업 활동에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 경영을 고려해야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철학을 담고 있다. ESG는 개별 기업을 넘어 자본시장과 한 국가의 성패를 가를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AOC (area of concern)

토양오염 의심 요소 관련 지적

ESA보고서에서 AOC가 있다/없다 기재함

 

ASTM (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

미국 실험재료협회 / 재료에 대한 표준규격

 

R&M (Repair and Maintenance)

수리 및 유지보수

 

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 BD+C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 신축 건물 및 주요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대상
      예) 사무실, 학교, 병원 등 신축 시 적용
  • ID+C (Interior Design and Construction)
    : 인테리어 전용 친환경 설계 인증
      기존 건물의 인테리어 공사만 수행하는 경우 적용
      예) 사무실 리모델링
  • O+M (Operations and Maintenance)
    : 기존 건물의 운영 및 유지관리를 친환경 기준에 맞게 관리하는 인증
      예) 기존 사무실 빌딩이나 호텔의 지속적인 에너지 효율 운영
  • ND (Neighborhood Development)
    : 주거 단지, 복합개발지구 등 지역 단위 개발에 대한 LEED 인증
      건물 단위가 아닌 커뮤니티/단지 전체의 지속가능성 평가
  • HOMES
    : 단독주택, 저층 공동주택 등 주거용 건물 대상
      에너지, 물, 공기질 등 주거환경 전반을 평가

<입찰>

RFP (Request For Proposal)

제안서

발주자가 특정 과제의 수행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함으로써 제안자가 제안서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문서

 

DO (Direct Ordering)

직발주

 

NSC (nominated sub conatract)

지명하도급

발주처에서 발주처의 편의대로 특정한 공사를 어느 지명한 업체에게 하도급을 주고자 할때 그러한 의사를 입찰서에 명기하는데, 다시말해 발주처에서 직접 선정한 하도급자를 선정하는 것이다.

 

BOQ (Bill of Quantity)

내역서, 수량명세서

 

PQ (Pre-Qualification)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제/사업수행능력평가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에 대하여 사전에 시공경험, 기술능력, 경영상태 신인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시공능력이 있는 적격업체를 선정하고 적격업체에게 입찰참가자격을 부여하는 제도

추정가격 300 이상공사/대형공사 기술제안입찰/추정공사 200억이상 공사로서 난이도가 높은공사 (국가계약법시행령) 

 

O&P (Overhead & Profit)

일반관리비&이윤

 

NTP (Notice to Proceed)

착공 지시서

 

Contingency 

예비비 또는 비상 대응 비용

 

IC(Investment Committee)

투자심의위원회 심의

금융기관(투자사, 자산운용사 등) 내부에서 해당 프로젝트에 투자 또는 대출을 승인할지 심사하는 절차

 


<기타>

GMP (good manufacture practice)

의약품 등의 제조나 품질관리에 관한 규칙

 

T.A.B. Testing(시험), Adjusting(조정), Balancing(평가)

건물내의 모든 공기조화 시스템에 설계에서 의도하는 바 대로 기능을 발휘하도록 점검, 조정하는 것으로,

1) 공기 및 물 분배의 밸런싱

2) 전체 시스템이 설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조정

3) 전기 계측

4) 모든 장비와 자동제어 장치의 성능에 대한 확인

5) 소음 측정 등을 말한다.

 

SPC (Special Purpose Company)

특수목적회사

 

PIC (Person in charge)

담당자

 

R&R (Role & Responsibility)

부서별 직무

구성원들의 역할, 담당업무를 규정하는것

 

SCOPE 

영역, 범위, 프로젝트 또는 계약의 작업 범위 및 한계

 

UAM (urban air mobility)

도심 항공 모빌리티 (드론 택시 등)

 

SOG (slab on ground)

대지 위에 바로 시공된 슬라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