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노트34

건축 / CM 실무 용어 및 영문 약어 모음 정리 건설 / 건축 업계에서는 수많은 전문 용어와 영문 약어가 일상처럼 사용됩니다. 어떤 분야에서는 영어 약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회의나 문서를 따라가기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저 역시 처음 실무에 투입되었을 때,“이게 무슨 뜻이지?” 하며 하나하나 찾아봤던 기억이 있는데요.그때 궁금했던 용어들과, 실무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약어들을 정리해서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 업무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실무 중심 용어들만 엄선했으니,신입 사원부터 경력자까지 모두에게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OS&E (Operating Supplies & Equipment)객실 어메니티, 식음업장 기물, 린넨, 유니폼, 청소 용품 및 시설 자재 등 소모품​FF&E (Furniture Fixtures & Equipment)호텔 건.. 2025. 4. 29.
법령 3단비교 - 건축물의 마감재료 : 피난 방화법에 따른 외벽과 내벽 기준 ▼ 관련 포스팅 2025.03.04 - [건축노트/법] - 건축물의 마감재료 : 피난 방화법에 따른 외벽과 내벽 기준 건축물의 마감재료 : 피난 방화법에 따른 외벽과 내벽 기준건축물의 마감재료 : 피난 방화법에 따른 외벽/내벽 기준 (건축법 제52조, 건축법 시행령 제61조,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24조) 건축물의 마감재료는 외관과 내부의 안borani.tistory.com 법령단위 3단 비교 건축물의 마감재료 외부와 내부 내화기준 건축법 건축법시행령 제61조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24조제52조(건축물의 마감재료)제61조(건축물의 마감재료)제24조(건축물의 마감재료) ① 영 61조 1항에 해당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건축물의 벽, 반자, 지붕(반자가.. 2025. 4. 25.
건축물의 건축면적 및 높이 산정을 위한 지표면 산정방법 [건축물 면적, 높이 등 세부 산정기준]3.5 지표면3.5.1. 건축물의 면적ㆍ높이 및 층수 등을 산정할 때 지표면에 고저차가 있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주위가 접하는 각 지표면 부분의 높이를 그 지표면 부분의 수평거리에 따라 가중평균한 높이의 수평면을 지표면으로 본다. 3.5.2. 다음 각 항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항목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산정한다.1) 지표면의 고저차가 3미터를 넘는 경우에는 그 고저차 3미터 이내의 부분마다 그 지표면을 정한다.2) 「건축법」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지하층의 지표면은 각 층의 주위가 접하는 각 지표면 부분의 높이를 그 지표면 부분의 수평거리에 따라 가중평균한 높이의 수평면을 지표면으로 산정한다. [건축물의 건축면적 및 높이 산정을 위한 지표면 .. 2025. 4. 25.
[국토부 질의회신] 건축물의 최상층 계단실에서 최상층과 그 아래층을 연결하는 계단 부분의 바닥면적 산입 여부 건축물의 최상층 계단실에서 최상층과 그 아래층을 연결하는 계단 부분의 바닥면적 산입 여부(「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제1항제3호 등 관련)  24-0271     |     2024-06-26 질의요지 「건축법」 제84조에서는 건축물의 대지면적, 연면적, 바닥면적, 높이, 처마, 천장, 바닥 및 층수의 산정방법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그 위임에 따라 마련된 같은 법 시행령 제119조제1항제3호 각 목 외의 부분 본문에서는 건축물의 바닥면적은 건축물의 각 층 또는 그 일부로서 벽, 기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구획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건축물의 최상층 계단실(각주: 옥상으로 올라가는 계단 및 계단탑은 없는 경우를 전제하며, 이하 같음. )에서.. 2025. 3. 5.
건축물의 마감재료 : 피난 방화법에 따른 외벽과 내벽 기준 건축물의 마감재료 : 피난 방화법에 따른 외벽/내벽 기준 (건축법 제52조, 건축법 시행령 제61조,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24조) 건축물의 마감재료는 외관과 내부의 안전성 및 미관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피난 방화법에 따른 기준을 준수하는 것은 화재 시 안전한 피난과 방화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건축물의 외벽과 내벽 마감재료에 대한 기준을 설명하고, 실내 마감재료의 기준, 심재의 준불연 시험 기준 등을 정리합니다.   외벽 마감재료 기준 외벽 마감재료는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재료로,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기준은 건축법 시행령 제61조에 따라 적용됩니다. 대상 건축물 (건축법 시행령 제61.. 2025. 3. 4.
보도공사 투수블록 품질기준 개선 시행 알림 25년 2월 서울특별시건축사회 공문 : 보도공사 투수블록 품질기준 개선 시행 알림서울시에서는 빗물의 우수유출감소와 이상폭우시 침수위험 분산의 일환으로 보도의 신설 및 전폭보수시 빗물을 머금을 수 있는 '투수블록 포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투수블록 포장의 효과 증진을 위한 품질기준 개선 시행 관련 서울시 공문을 공유합니다.     가. 시행일 : '2025.03.나. 개선내용 : 반입 투수블록 투수지속성 등급 상향 구  분당  초('12~'24)개  선'25~'27'27~품질기준투수지속성 검증 시험3등급 투수지속성 검증 시험2등급 투수지속성 검증 시험1등급 ※ ('27년) 블록제조사 기술개발 준비기간과 제조 정착 등을 위해 1·2등급 병행 시행      ▽ 협회공문, 서울특별시 공문 다운로드 2025. 2. 19.
건축물 안전영향평가 대상, 예외, 접수시기, 절차 건축물 안전영향평가 대상1. 초고층 건축물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2. 연면적 10만 제곱미터 이상이고, 16층 이상인 건축물 예외다른 법률에 따라 안전영향평가의  평가항목과 동일한 내용의 평가를 받은 경우에는 '해당 항목'을 평가 받은 것으로 함 * 안전영향평가가 면제되는것은 아님 작성 대상 건축물은 안전영향평가기관에 의뢰하여 실시  검토항목1. 적용 설계 기준, 하중2. 하중저항시스템 해석, 설계3. 지반조사 방법, 지내력(地耐力) 산정결과4. 굴착공사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 지반 안전성5. 그 밖에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접수시기건축허가 신청전 비용의뢰자 부담 (건축물을 건축하려는 자) 과정허가권자에 접수 → 안전영향평가기관에 의뢰 → 안전영향평.. 2025. 2. 18.
2025.02_건축 관계법령 일부 개정 공포·시행 알림 25년 2월 대한건축사협회 공문 : 건축 관계법령 일부 개정 공포·시행 알림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 외 관계법령의 일부개정 및 시행내용을 공유합니다. 내용 법령명 시행일자주요내용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25.2.7.- 유치원, 특수학교, 초ᆞ중등학교ᆞ대학교의 기숙사 ᆞ합숙소, 임시교실 등의 교육시설이 신설되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설비 또는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등 화재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소방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제10조의3 신설)- 임시교실에 대해 구조 안전, 피난ᆞ방화ᆞ소방, 보건 등 안전성을 확보(제10조의4 신설)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25.2.7.- 스프링클러설비 등 소방시설의 설치 기준을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2025. 2. 13.
지하안전영향평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 지난 포스팅에서는 지하안전영향평가의 대상, 제출 시기, 그리고 굴착 깊이 예외 대상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지하안전영향평가에서 제외되거나 면제되는 경우를 알아보겠습니다.    ▽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 제출시기 관련 포스팅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 제출시기 예외대상1.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 굴착깊이 10미터 이상 20미터 미만2. 지하안전영향평가 : 굴착깊이 20미터 이상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제13조(지하안전평가 대상사업의 규모 등borani.tistory.com  ▽ 산지(임야)에 전, 답 등이 섞인 대지에서 굴착할 경우 지안평 제외 대상인지?  [국토부 질의회신] 사업구간이 임야인 대지의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 여부 / 산지를 포함한 대사업구간이 임야인 대지의 지하안전영향평.. 2025. 2. 13.
반응형